🎼악기
개요

책과 깃펜을 필수적으로 준비해 주세요! 악보 시스템 문법을 사용하여 악보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명령어
/악보등록
을 입력하여 책과 깃펜에 작성한 악보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.
/악보연주
를 압력허여 등록한 악보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.
악보 작성 양식
악보 시스템 문법
악보는 오직 숫자 띄어쓰기 줄바꿈 + - # b C F L 만 인식할 수 있습니다. 그 외의 다른 문자를 입력할 시 연주 중에 오류를 띄우며 연주가 중단됩니다.
음은 0(파#) ~ 14(파)까지 존재합니다.
( 0 - 파# / 4 - 도 / 5 - 레 / 6 - 미 )
음 앞에 0을 붙여도 같은 음이 연주되지만, 가장 낮은 음인 파#의 경우 0으로 표기하기에 예외입니다.
04(도) = 4(도)
음을 적은 후 추가로 #을 적으면 반올림 음을 연주하게 됩니다.
( 0 - 파# / 04# - 도# / 07# - 파# )
음을 적은 후 추가로 b를 적으면 반내림 음을 연주하게 됩니다.
( 0 - 파# / 09b - 라b / 10b - 시b )
- 는 쉼표를 나타내고 뒤에 적은 길이만큼 시간이 지난 후 다음 음이 연주됩니다.
음을 입력 후 +를 적으면 추가적으로 다른 음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.
4(도) + 6(미) + 8(솔)을 입력할 경우 연주 시 세 음이 동시에 연주됩니다. 이 기능을 활용하여 같은 음을 +로 연주할 시 소리의 크기가 커집니다.
(5+5+5)
음 입력 시에는 반드시 길이가 따라와야 합니다. ex) 4 4 - 4(도)를 4틱동안 연주 ex) 44 - 띄어쓰기를 하지 않아 오류 발생 ex) 4 - 길이를 입력하지 않아 오류 발생
길이는 1당 0.05초(1틱)이고 20을 입력할 시 1초입니다. 4 20을 악보에 적은 후 연주 시 4(도)를 연주한 후 1초가 지나서 다음으로 연주할 음으로 넘어가게 됩니다.
예시
앞선 문법들을 활용하여 기본적인 악보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 아래 문법을 책과 깃펜에 복사 붙여넣기 후 연주해보세요!
4 8 4 8 8 8 8 8 9 8 9 8 8 8
음악의 속도
음 뒤에 붙이는 음의 길이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.
16분음표 기준
𝅘𝅥=300 / 16분음표에 1틱
𝅘𝅥=150 / 16분음표에 2틱
𝅘𝅥=100 / 16분음표에 3틱
𝅘𝅥=75 / 16분음표에 4틱
𝅘𝅥=60 / 16분음표에 5틱
8분음표 기준
𝅘𝅥=300 / 8분음표에 2틱
𝅘𝅥=200 / 8분음표에 3틱
𝅘𝅥=150 / 8분음표에 4틱
𝅘𝅥=125 / 8분음표에 5틱
𝅘𝅥=100 / 8분음표에 6틱
𝅘𝅥=75 / 8분음표에 8틱
𝅘𝅥=60 / 8분음표에 10틱
150BPM 곡의 4분음표로 된 도를 연주
4 8
200BPM 곡의 8분음표로 된 레를 연주
5 3
BPM이 위의 표시된 숫자와 비슷하면 악보 작성이 가능합니다. 그러나 125BPM, 175BPM등 크게 오차가 나는 경우 악보를 작성하였을 때 속도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오차는 +- 10정도가 적당합니다.
심화
앞선 기본 기술들을 이해하셨다면 추가적인 기능들을 통해 더욱 다채로운 음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.
편의성
악보를 작성할 때 음 앞에 0을 붙이지 않으면 음과 박자의 구별이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자리 숫자인 음의 경우 앞에 0을 붙여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.
부적절한 예) 4 4 4 4 4 4 4 4
올바른 예) 04 4 04 4 04 4 04 4
이러한 방식으로 작성한다면 후에 오류가 생겼을 시에 빠르게 변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.
또한, 악보 작성시 +를 이용하여 음을 동시에 연주하는 것은 손이 많이 간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. 그래서 + 대신 음의 길이를 넣는 칸에 0을 넣어 이를 대체 할 수 있습니다.
05+05+05 4= 05 0 05 0 05 4
이를 통해 빠른 악보 작성이 가능합니다.
추가적인 기능들
음에 F를 입력시 해당 음을 연주할 때 양손의 아이템을 바꿉니다. (보조 손 변경) 4 2 5F(F5의 형태도 가능) 2 를 악보에 적으면 도를 연주한 후 양손의 아이템을 바꾸어 레를 연주합니다.
(바꾼 후 연주할 음을 앞이나 뒤에 넣어주지 않으면 0(파♯)으로 연주함)
음에 C숫자(1~9)를 입력 시 해당 음을 연주할 때 숫자에 해당하는 슬롯으로 이동합니다. (슬롯 변경) 4 2 5C2(C25의 형태도 가능) 2 를 악보에 적으면 도를 연주한 후 2번 슬롯으로 이동해 레를 연주합니다.
(이동한 후 연주할 음을 앞이나 뒤에 넣어주지 않으면 0(파♯) 으로 연주함)
악보에 L숫자 (Ex. L7, L9등) 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칸의 악보를 이어서 연주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도를 8틱씩 두번 연주 후 8번에 있는 악보를 이어서 연주하는 악보입니다.
04 8 04 8 L8
다양한 옥타브의 연주
앞선 기본 기술을 이용한 악보 작성에는 한 옥타브만 연주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. (한 악기에서는 0~14까지만 가능)
앞선 C 기능을 이용하면 여러 옥타브를 동시에 연주할 수 있습니다.
악기상점에 파는 옥타브가 존재하는 악기(Ex. 하프 -1 하프 0 / 피아노 -1 피아노 0 )의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(플링/벨의 경우는 다른 옥타브 연주 불가)
여러 옥타브를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C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. 상점에 존재하는 피아노, 하프등의 악기는 -2~+2까지의 5개 종류의 음 높낮이를 가지고 있습니다.
인벤토리 칸에 1번 칸부터 순서대로 -2 / -1 / 0 혹은 일반 / +1 / +2 순으로 두는것을 추천합니다. 앞선 인벤토리 구조를 사용한다고 가정을 한 뒤 설명하겠습니다.
높은음 자리표의 기본 도는 04C3(세번째 칸 악기의 도 - 즉 0 혹은 일반 악기의 도) 를 이용합니다. 여기서 음을 높이거나 낮추어 03C3(세번째 칸 악기의 낮은 시), 05C3(세번째 칸 악기의 레) 등을 연주 할 수 있습니다.
높은음 자리표의 음계
0C3 -> 01C3 -> 02C3 -> 03C3 -> 04C3 -> 05C3 -> 06C3 -> 07C3 -> 08C3 -> 09C3 -> 10C3 -> 11C3-> 12C3 -> 13C3 -> 14C3
반면 낮은음 자리표의 기본 도는 04C2( 두번째 칸 악기의 도 - 즉 -1 악기의 도 )를 이용합니다. 여기서 음을 높이거나 낮추어 03C2( 두번째 칸 악기의 낮은 시 ), 05C2(두번째 칸 악기의 레)등을 연주 할 수 있습니다.
낮은음 자리표의 음계
01C2 -> 02C2 -> 03C2 -> 04C2 -> 05C2 -> 06C2 -> 07C2 -> 08C2 -> 09C2 -> 10C2 -> 11C2 -> 12C2 -> 13C2 -> 14C2
다른 높낮이의 음을 가진 악기들의 연결 방식입니다.
Ex. -2 악기 (첫번째 칸의 악기) 와 -1 악기 (두번째 칸의 악기) 의 연결
07C1 -> 01C2 -> 02C2
Ex. -1 악기 (두번째 악기) 와 0 혹은 일반 악기(세번째 악기)의 연결
14C2 -> 01C3 -> 02C3
Ex. 0 혹은 일반 악기 (세번째 칸의 악기) 와 +1 악기(네번째 칸의 악기) 의 연결
14C3 -> 08C4 -> 09C4
Ex. +1 악기(네번째 칸의 악기) 와 +2 악기(다섯번째 칸의 악기) 의 연결
14C4 -> 08C5 -> 09C5
주의점
-1 악기와 0 혹은 일반 악기의 연결에 차이가 나는 이유가 있습니다. 낮은음 자리표와 높은 자리표를 이어줄 때, 앞선 설명을 토대로 표현하면 음이 맞지 않습니다.
-1 악기의 11(높은 도)가 0 악기(일반 악기)의 04(도)와 소리가 같기 때문입니다. 그래서 원래는 04C3를 기준음으로 삼을때 07C2 -> 01C3 -> 02C3 순서가 맞습니다.
이러한 식으로 표현을 할 시에 높은음 자리표 이상의 경우 (+1 악기, +2 악기)는 표현하는 경우가 없거나 적어 모든 음이 표현이 가능합니다.
하지만, 낮은음 자리표의 경우는 -2 악기까지 사용을 한다고 하여도 표현할 수 있는 음이 적기 때문에 임의로 음을 늘려 사용하고 있습니다.
이 때문에 낮은음 자리표에서 높은음 자리표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악보를 표현할 때는 따로 07C2 -> 01C3 순으로 표현해주셔야 합니다.
마침
악기 사용법을 작성해 주신 BNC_diamond님께 진심으로 감사 말씀 드립니다.
Last updated